유기농 5

농담, 농사이야기 - 농민기본소득보장제

월간 [화천엔] 2015년 4월호 특집 “나는 농사꾼이다” 중 한 꼭지. 사진은 6년이나 된 오래된 사진. 농담, 농사이야기 백승우 지난 밤 꿈에 갑돌이와 갑순이가 나와 서로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예사 꿈같지 않아 부리나케 일어나 꿈속에 들은 꿈같은 얘기를 적었습니다. 농사이야기라서 농담입니다. 그냥 농담이니까 재미삼아 보시면 되겠습니다. 돌이: 순아, 우리 농부들이 농사지어 먹고 사는데 제일 어려운 점이 뭔 줄 아니? 순이: 팔아먹는 게 제일 힘들다고들 하던데? 맞아? 돌이: 딩동댕! 맞았어, 맞았어. 바로 그거야. 그러면 팔아먹는 게 왜 이렇게 힘들어졌는지는 아니? 순이: 누가 그러더군. 이게 다 수입농산물 때문이라고. 돌이: 역시 딩동댕! 아주 좋았어. 그러면 수입농산물은 다 어디 있는 거니? 수입..

농업 2015.04.03

친환경 농사꾼에게 속박이를 허하라

친환경농민에게 "속박이"를 허하라백승우(농부) *이 글은 대산농촌문화재단에서 발간하는 2014년 몇월혼가에 실은 글입니다. 우리 동네 할머니들은 호미귀신은 한 번 붙으면 절대 안 떨어진다고들 하신다. 농사에 한 번 맛을 들이면 영영 끊을 수 없단 말씀이다. 호미 귀신의 흔적은 도심에서도 발견된다. 조그만 땅이라도 있으면 어김없이 대파나 상추, 고추 따위가 심어져 있고, 아예 시멘트나 벽돌, 아스콘 등이 흙을 남김없이 뒤덮어버린 데라도 커다란 화분이 조각 밭을 대신해 서있다. 때맞춰 씨앗을 뿌리고 정성들여 가꾸며 돌봐주다가 적당한 때가 되면 거둬들여서 낼름 먹어치우는 그 맛은 매우 강렬하고 매혹적이다. 이 일은 인류에게 아주 익숙하고 오랜 것이다. 최소한 1만여 년 전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살아가는 데..

농사 2015.02.28

소비자를 위한 유기농 가이드북

농부 겸 번역가 이현정씨가 번역한 훌륭한 책...ㅋㅋㅋ ++++ "땡큐 아메바"라는 좋은 책뿐만 아니라 환경 관련 책을 꾸준히 펴내고 있는 시금치 출판사에서 소비자를 위한 유기농 가이드북, 웬만하면 먹지 마세요! 라는 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보시고, 혹시 "쾌"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지, 꼭 좀 봐주시고, 말씀해 주세요. 제가 본성이 워낙 공격적이어서, 고슴도치처럼 사람을 찔러요. 의식하지 못 한 채로ㅠㅠ ++++ 유기농사꾼과 이웃이 되려는 소비자의 아홉 가지 실천 1 알아차린다 뭘 먹든, 먹을 때마다 원재료가 수입농산물인지 우리농산물인지 자각하면서 먹는다. 습관을 바로 바꾸기는 어렵더라도 우선 먼저 알아차리기는 해야 한다. 2 책임소비한다 내가 내 몫을 충실히 먹을 때라야 계획생산도 되고 농사꾼도 웃는..

농업 2013.01.08

정부의 친환경농업 정책은 반드시 망할 것입니다

[2005년 7월 13일 작성] 오래 된 글인데도, 현실감이 떨어지질 않아!!!!!!!!!!!!!!!!!!!!!ㅋㅋㅋㅋㅋ. 정부의 친환경농업 정책은 반드시 망할 것입니다 백승우 여기, 지난 십여 년 동안 고집스럽게 유기농업을 해 온 농민이 한 사람 있습니다. 이 분을 라고 하겠습니다. 논 한 삼천 평에 밭 8백 평쯤 짓습니다. 5월 말에 모내기를 하고, 제초제 대신으로 등겨를 뿌리는데요, 가축 먹이로도 많이 쓰고, 또 요즘, 정부가 친환경 농업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면서 등겨를 찾는 농가가 많아졌기 때문에 등겨 구하기도 힘들어졌습니다. 값도 많이 올랐구요. 그래서 가을에 추수할 무렵에 구해 놓지 않으면 안 됩니다. 지난 가을에 필요한 만큼 구해서 창고에 넣어뒀는데, 망할 놈의 쥐새끼들이 엄청나게 솔아놨습니..

농업 2012.06.17

나는 농사꾼이다 : 시즌1->시즌2 : 2005.6.29.

[출처: 내 홈피 "농부네 마을" 인사말씀 게시판] 낯 모르는 분들께도 감자를 열심히 팔아야 되니까, 어쩔 수 없습니다. 조금 자세히 제 소개를 해 보겠습니다. 당연히, 좋은 점, 드러내고 싶은 점만 골라서 짜집기 하게 되니까, 좀 거시기한 부분이 있더라도 널리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디, 상업적 목적의 글이라는 점을 잊지 마시길... 백승우(1969년생) ***스스로 지은 이름으로 밝은땅, 백수(伯秀), 단지(장단지, 똥단지 할 때 단지. 丹志 붉은 뜻...사상적으로 뽈갱이, 사회주의자라는 의미), 느림바우, 늦눈, 무소음(無騷音), 농부, 놀부 등이 있지만 '백수' "농부' 정도만 조금 알려졌지, 나머지는 아무도 모른다. ***정토회 법륜스님이 하시는 강좌를 듣고, 법륜스님으로부터 이라는 법명을 ..

2012.02.03